73. 다음과 같은 저항측정 방법의 측정계기를 쓰시오. 01-9
(1) 굵은 나전선의 저항 - 캘빈더블 브리지
(2) 수천옴의 가는 전선의 저항 - 휘트스톤 브리지
(3) 전해액의 저항 - 콜라우시 브리지
(4) 옥내 전등선의 절연저항 - 메거
74. 전기용어 설명 01-24
(1)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 결선상 단위
(2) 수구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의 총칭
(3) 한류 퓨즈 -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흐르는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퓨즈
(4) 접촉 전압 - 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기 기구의 금속제 외함들에 인축이 닿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
75. 주어진 표의 빈칸에 연 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의 특성을 비교,설명 01-25
연 축전지 |
알칼리 축전지 | |
수 명 |
짧다 |
길다 |
강 도 |
약 |
강 |
공칭전압 |
2V |
1.2V |
76. (1) 단락시험을 했다고 가정하고 임피던스 전압, %임피던스, 동손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① 임피던스 전압: 시험용 변압기의 2차측을 단락한 상태에서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1차측 단락 전류가 1차 정격 전류와 같게 흐를 때, 1차측의 단자전압을 말한다. 01-39쪽
③ 동손: 교류전력계의 지시값을 기준온도75℃로 환산한 값이다.
(2) 무부하 시험으로 철손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 시험용 변압기의 2차측(고압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슬라이닥스를 조정하여 교류 전압계의
지시값이 1차(저압측) 정격 전압일 때의 전력계의 지시값이다. (동일책 참고)
(3) 단락 시험,무부하 시험으로 변압기 효율을 구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 단락 시험에서의 동손 P값과 무부하 시험에서의 철손 P값 그리고 시험용 변압기의
정격출력[KVA]으로써 변압기의 효율을 구할 수 있다.
(4) %임피던스와 변압기 고장시 단락 고장 전류, 변압기 전압 변동률과의 관계를 간단히 설명하 시오.
① %임피던스가 크면 전압변동이 커진다.
② 단락 전류 이므로 %임피던스가 작으면 단락 고장 전류는 커진다.
77. ◉ 콘센트심벌(기본심벌은 벽붙이 콘센트) 02-3,23
LK: 빠짐 방지형 ET: 접지 단자 붙이 EL: 누전 차단기붙이 E: 접지극 붙이 T: 걸림형
H: 의료용 WP: 방수형 EX: 방폭형 2: 2구 3: 3구 3P: 3극
: 천장붙이 콘센트 : 바닥붙이 콘센트
◉ 점멸기심벌
2p: 2극 스위치 4: 4로 스위치 <참고> 콘센트 및 점멸기 심벌은 15A 미만은 방기하지 않음
78. 릴레이 시퀀스와 무접점 시퀀스에 사용되는 전자릴레이와 무접점 릴레이를 비교할 때 전자릴레이 의 장/단점을 5가지씩만 쓰시오. 02-14
장점) ①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② 온도 특성이 좋다
③ 전기적 잡음없이 입/출력을 분리 할 수 있다 ④ 가격이 싸다
⑤ 부하가 큰 전력을 인출할 수 있다
단점) ① 소비전력이 크다 ②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③ 응답속도가 느리다
④ 가동접촉부 수명이 짧다 ⑤ 충격, 진동에 약하다
79. 전력퓨즈 02-7,16 (94-7) (14번 참고)
(1) 역할/기능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어떤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2) 전력퓨즈의 사용상 장점
① 소형, 경량이어서 설치 용이 ② 소형으로 큰 차단용량을 갖는다 ③ 고속차단을 한다 ④ 보수가 간단하다 ➄ 가격이 싸다 ➅ 릴레이나 변성기가 필요없다
80. (1) 전력퓨즈의 사용상 단점 02-16
① 재투입을 할 수 없다 (가장 큰 단점)
② 과도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수 있다
③ 동작시간, 전류특성을 계전기처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없다
④ 퓨즈가 용단되어도 차단하지 못하는 전류범위(비보호 영역)가 있다
❺ 차단시 과전압(이상전압)이 발생한다
(2) 전력퓨즈를 구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4가지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④ 사용장소
(3) 성능(특성) ① 용단특성 ② 단시간 혀용 특성 ③ 전차단 특성
능력 기능 |
회로분리 |
사고차단 | ||
무부하 |
부하 |
과부하 |
단락 | |
퓨즈 |
○ |
|
|
○ |
차단기 |
○ |
○ |
○ |
○ |
개폐기 |
○ |
○ |
○ |
|
단로기 |
○ |
|
|
|
전자개폐기 |
○ |
○ |
○ |
|
81. UPS(무정전 전원 장치)의 불록 다이어그램 02-21
상용전원 |
AC |
AVR |
|
절체 스위치 |
AC |
부하 | |||||
|
DC |
| |||||||||
|
AC |
|
|
|
| ||||||
절체 스위치 |
컨버터 |
인버터 | |||||||||
|
| ||||||||||
|
|
|
|
|
| ||||||
발전기 |
|
축전지 |
|
| |||||||
|

설명) UPS설비는 직류전원 장치와 사이리스터(컨버터·인버터)를 조합한 것으로서 블록선도와 같이 평상시에는 교류전원을 정류기(컨버터)로써 직류로 변환하고 인버터에 의하여 안정된 교류로 역변환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교류전원의 정전시에는 축전지가 방전하여 이것을 인버터로써 교류로 역변환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82. 알칼리축전지를 연축전지와 비교할 때 알칼리축전지의 장점 2가지, 단점 1가지를 쓰시오. 02-29
장점) ① 충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② 방전시 전압변동이 적다 ➂ 사용온도 범위가 넓다
단점) 연축전지에 비하여 단자전압이 낮다
83. 부동충전방식(회로 생략) 02-29(98-33)
· 설명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이다.
84. 저압배선 방법 중 캡타이어케이블의 사용구분 02-33
( ○ : 사용할수있다 × : 사용할수 없다 △ : 노출장소 또는 은폐장소에서만 사용 할 수 있다 )
장소 전선종류 전압 |
옥내 |
옥측,옥외 | |||
400V미만 |
400V 이상 |
400V미만 |
400V 이상 | ||
2종 |
비닐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
클로로프렌설폰화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
고무 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
3종 및 4종 |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클로로프렌설폰화폴리에틸렌 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
고무 캡타이어케이블 |
○ |
○ |
× |
× |
85. 선로나 간선에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생기기가 있을 경우 그 대책을 적절히 세워야 한다. 이 고조파 억제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02-33
① 전력 변환 장치의 pulse 수를 크게 한다.
② 전력 변환 장치의 전원측에 교류 리액터를 설치한다.
③ 부하측 부근에 고조파 필터를 설치한다.
86. 부하의 역률 개선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02-38 (49,90번 참고)
(1)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 한다
(2) 부하 설비의 역률이 저하되는 경우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를 2가지(90%이상일 경우)
① 전력손실이 커진다 ② 전기요금이 증가한다 ❸ 전압강하가 커진다 ❹ 전기설비용량이 증가한다
87. 전동기의 기동 보상기제어는 어떤 기동 방법인지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03-19(2번 참고)
- 기동시 전동기에 대한 인가전압을 단권 변압기로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써 기동전류를 억제하고 기 동 완료 후 전전압을 가하는 방식.
88. 송전선로의 거리가 길어지면서 송전선로의 전압이 대단히 커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단도체 대신 복도체 또는 다도체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 데 복도체(또는 다도체) 방식을 단 도체 방식과 비교할 때 그 장점과 단점을 각각 3가지씩만 쓰시오. 03-23 (50번 찹고)
장점) ① 송전용량 증대 ② 코로나 손실 감소 ③ 안정도 증대
단점) ① 건설비 증가 ② 꼬임 현상 및 소도체 사이의 충돌현상 발생
③ 단락시 대전류등이 흐를때 소도체 사이의 흡인력이 발생
89.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3-25
(1) 발전기실 건물의 높이를 결정하는 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① 발전기의 유지보수 용이
② 발전기 부속설비(연료 소출조·소음기·환기설비)의 높이 및 설치 위치
(2) 발전기와 부하 사이에 설치하는 기기는? -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전압계, 전류계
90. 역률 과보상시 나타나는 현상은? 03-25 (49,86번 참고)
① 역률의 저하 및 손실의 증가 ② 단자전압 상승 ③ 계전기 오동작
91. 각 전해조에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해 1~3개월 마다 1회씩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는 방식은? - 균등충전방식
92. HID Lamp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03-27
(1) 이 램프는 어떠한 램프를 말하는가? (우리말 명칭 또는 이 램프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쓸 것)
- 고휘도 방전램프
(2) 가장 많이 사용되는 램프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 고압 수은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메탈 핼라이드 램프
93. 도로조명 설계시 고려사항 03-28(05-1회)
① 노면 전체에 가능한 한 높은 평균휘도로 조명할 수 있을 것
② 도로 양측의 보도, 건축물의 전면등이 높은 조도로 충분히 밝게 조명할 수 있을 것
③ 조명기구 등의 Glare가 적을 것
④ 주간에 도로의 풍경을 손상하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것
⑤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적절할 것
⑥ 휘도 차이에 따른 균제도(최대, 최소) 확보
<성능상 고려할 사항>
❶ 운전자의 방향에서 본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❷ 보행자가 보는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고, 조도 균제도가 일정할 것
❸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할 것
❹ 조명시설이 도로나 그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❺ 광원색이 환경에 적합한 것이며, 그 연색성이 양호할 것
❻ 도로상의 연직면 조도가 충분히 밝고, 서로간의 보행자를 알아볼 수 있을 것
94. 피뢰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04-8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류용 피뢰기의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직렬갭과 특성요소
(2) 피뢰기의 정격 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전압
(3) 피뢰기의 제한 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피뢰기 방전중 피뢰기 단자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95.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열음극 형광등과 비교하여 슬림라인(Slim Line)형광등의 장점 5가지 와 단점 3가지를 쓰시오. 04-9(98-48)
장점)
①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 등 기동장치가 불필요하다.
② 순시기동으로 점등시간이 짧다. ③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④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⑤ 전압변동으로 인한 수명 단축이 없다.
단점)
① 점등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기동시 음극이 손상하기 쉽다
③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❹ 수명이 짧다
96. 비상용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조건 4가지 04-26 (22번 참고)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위상의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④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97. 설비불평형률(3상3선식, 3상4선식) 04-26
(1) 제한원칙 : 30[%]이하
(2) 제한원칙을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별고압수전에서 용량 100[KVA]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98. (1)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회로상의 차이점을 2가지씩 쓰시오. 04-38
전류형 인버터 |
전압형 인버터 |
DC Link 양단에 평활용 콘덴서 대신에 리액터 사용 |
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 필터 사 용 |
인버터부에 SCR 사용 |
컨버터부에 3상 다이오드 모듈 사용 |
(2)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출력 파형상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 전류형 인버터: 전압 - 정현파, 전류 - 구형파
• 전압형 인버터: 전압 - PWM구형파, 전류 - 정현파(전동기 부하인 경우)
99. (1) Y - △ 기동 및 운전에 대한 조작요령을 설명하시오.04-38 (01-23 참고)
: Y결선으로 기동한 후 타이머 설정시간이 지나면 △결선으로 운전한다. 이 때 Y 와 △는
동시투입되면 안된다.
(2) Y - △ 기동 시와 전전압 기동 시의 기동전류를 비교 설명하시오.
100. 배전선의 전압을 조정하는 3가지 방법은? 05-1회
① 자동전압 조정기 사용(SVR,IR) ② 고정승압기 ③ 병렬 콘덴서
101. 다음 각 기기가 정상전류, 이상전류에 작동할 수 있는 지를 ○, ×, △로 표시하시오. 05-2회
기기 전류 |
정상전류 |
이상전류 | ||||
통전 |
개 |
폐 |
통전 |
투입 |
차단 | |
차 단 기 |
○ |
○ |
○ |
○ |
○ |
○ |
퓨 즈 |
○ |
× |
× |
× |
× |
○ |
단 로 기 |
○ |
△ |
× |
○ |
× |
× |
개 폐 기 |
○ |
○ |
○ |
○ |
△ |
× |
102. 접지저항의 측정방법 2가지는? 05-2회
①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② 어스테스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103. 전력계통의 발전기,변압기 등의 증설이나 송전선의 신.증설으로 인하여 단락·지락전류가 증가하 여 송변전 기기에서 손상이 증대되고 부근에 있는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의 경감대책을 세워야 한 다. 이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05-2회
- ① 고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한다 ② 모선계통을 분리.운용한다 ③ 한류리액터를 설치한다
❹ 계통전압의 격상 ❺ 직류연계 ❻ 고장 전류 제한기 사용
104. CT에 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05-2회
(1) Y - △로 결선한 주변압기의 보호로 비율 차동계전기를 사용한다면 CT의 결선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 주변압기의 1차측에 사용되는 변류기는 △결선,2차측에 사용되는 변류기는 Y결선을 한다.
(변압기 결선과 반대로 결선한다)
(2) 통전 중에 있는 변류기 2차측 기기를 교체하려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를 설명하시 오. - 2차측을 단락한다.
105. 컴퓨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전원장치로 UPS를 구성하려고 한다. 주어진 그 림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05-2회
BYPASS TRANSFORMER ④
입력 ① ③ 출력
②
(1) 그림의 ①~④에 들어갈 기기 또는 명칭을 쓰고 그 역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 ① 컨버터 : 교류를 직류로 변환
② 축전지 : 충전장치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저장
③ 인버터 : 직류를 사용하여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변환
④ 절체스위치 : 상용전원 정전시 인버터 회로로 절체되어 부하에 무정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2) Bypass Transformer를 설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① 회로의 절연
② 교류 입력의 전압과 부하의 정격 전압이 다른 경우에 전압의 크기를 같게 하기 위하여 사용
구분 장치 |
UPS |
CVCF |
VVVF | |
우리말 명칭 |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장치 | |
주회로 방식 |
전압형 인버터 |
전압형 인버터 |
전류형 인버터 | |
스위칭 방식 |
컨버터 |
PWM제어, 위상제어 |
PWM제어 |
PWM제어,위상제어 |
인버터 |
PWM제어 |
PWM제어 |
PWM제어 | |
주회로 디바이스 |
컨버터 |
IGBT |
IGBT |
IGBT |
인버터 |
IGBT |
IGBT |
IGBT | |
출력 전압 |
무정전 |
○ |
× |
× |
정전압 정주파수 |
○ |
○ |
× |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
○ |
× |
○ |
106. 단락전류를 계산하는 것은 주로 어떤 요소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인지 그 적용 요소에 대하여
3가지만 결정하시오.
- 차단기의 차단용량 결정, 보호계전기의 정정,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의 추정
107. 고압 회로용 진상콘덴서 설비의 보호장치에 사용되는 계전기를 3가지 쓰시오.
- 과전압 계전기, 과전류 계전기, 저전압 계전기
108. PF-S형 큐비클은 큐비클의 주차단 장치로서 어떤 종류의 전력 퓨즈와 무엇을 조합한 것인가?
- 전력 퓨즈의 종류 : 한류형 퓨즈
조합하여 설치하는 것 : 고압개폐기
109. 인입구 장치에서 심야 전력 기기의 배선 공사 방법으로는 어떤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한 방법을 4가지만 쓰시오.
- 금속관 공사, 케이블 공사, 합성 수지관 공사, 가요 전선관 공사
110.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를 4가지만 설명하시오.
-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통신선의 유도장해
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111. 가스 절연개폐기(GIS)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가스 절연개폐기(GIS)에 사용되는 가스의 종류는? - SF6(육불화유황)가스
(2) 가스 절연개폐기(GIS)의 사용하는 가스는 공기에 비하여 절연내력이 몇 배정도 좋은가?
- 2~3배
(3) 가스 절연개폐기(GIS)의 장점 3가지를 쓰시오.
- 절연 성능과 안정성이 우수한 불활성 기체이다, 소호 능력이 뛰어나다(공기의 약 100배)
절연 내력은 공기의 2~3배 정도이다
112. 보조 접지극을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전압과 전류를 공급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함
113. 전원에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하설비의 과열 및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고조파 전류가 발생하는 주원인과 그 대책을 각각 3가지만 쓰시오.
(1) 고조파 전류의 발생 원인
- 변압기·전동기 등의 여자 전류, 컨버터·인버터·Chopper 등의 전력 변환 장치,
전기로·아크로 등
(2) 대책
- 전력 변환 장치의 Pulse 수를 크게 한다.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변압기 결선에서 △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114. 옥외용 변전소 내의 변압기 사고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종류 5가지만 쓰시오.
- 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과에 의한 지락사고,
고저압 권선의 혼촉, 권선의 단선, Bushing Lead선의 절연파괴
115. 아날로그형 계전기에 비교할 때 디지털형 계전기의 장점 5가지만 쓰시오.
- 고성능·다기능화 기능, 소형화할 수 있다, 신뢰도가 높다,
융통성이 높다, 변성기의 부담이 작아진다
116.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종류 중 4가지만 쓰시오.
- 내압 방폭구조, 유입 방폭구조, 안전증가 방폭구조, 본질안전 방폭구조
117. 농형 기동법 : 직입기동, Y-△기동, 기동보상기법
권선형 기동법 : 2차 저항 기동법, 2차 임피던스 기동법
118. 몰드형 변압기의 장점(5가지)과 단점(2가지)를 쓰시오.
- 장점 : 난연성이 우수하다, 내습·내진성이 양호, 소형·경량화할 수 있다, 전력손실이 적다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
단점 : 가격이 비싸다, 충격파 내전압이 낮다
# 수변전 설비에 사용하는 기기의 명칭, 약호, 기능
용어(명칭) |
약호(문자) |
기능(역할) |
케이블 헤드 |
CH |
가공전선과 케이블의 단말 접속으로서,재산분계점과 책임분계점을 이룬다. |
단로기 |
DS |
무부하에서 회로를 개폐 또는 변경 |
피뢰기 |
LA |
이상전압를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를 차단 |
전력퓨즈 |
PF |
부하전류는 통전토록하고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 나 기기를 보호, 회로 및 기기의 단락 보호용 |
계기용 변압 변류기 |
MOF(PCT) |
PT와 CT를 한 함에 넣어 고전압과 대전류를 저전 압과 소전류로 변성하여 전력량계에 공급 |
영상 변류기 |
ZCT |
지락전류를 검출하여 지락 계전기에 공급 |
계기용 변압기 |
PT |
고전압을 저전압(110V)로 변성(변압)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 |
계기용 변류기 |
CT |
대전류를 소전류(5A)로 변성(변류)하여 계기나 계전 기에 공급 |
교류 차단기 |
CB |
단락 사고, 지락 사고등 사고 전류와 부하 전류를 차단 |
유입 차단기 |
OCB |
부하전류를 개폐하고 사고(고장,이상)전류를 차단 |
유입 개폐기 |
OS |
부하전류를 개폐 |
트립 코일 |
TC |
사고시에 보호계전기에 의해 여자되어 차단기를 동 작 |
지락 계전기 |
GR |
지락사고시에 지락전류(영상전류)로 동작 |
과전류 계전기 |
OCR |
과부하 및 단락 사고시 차단기 트립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여 차단기를 개로한다 |
전압계용 전환(절환) 개폐기 |
VS |
전압계 1대로 3상의 각 선간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 3상 회로에서 각 상의 전압을 1개의 전압계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환스위치 |
전류계용 전환(절환) 개폐기 |
AS |
전류계 1대로 3상의 각 선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개 폐기 |
전압계 |
V |
전압을 측정 |
전류계 |
A |
전류를 측정 |
전력용 콘덴서 |
SC |
앞선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역률 개선 |
방전 코일 |
DC |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방전하여 감전사고 방지 |
직렬 리액터 |
SR |
제5고조파 전류를 없애 전압파형의 찌그러짐을 방 지하고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를 억제 |
컷아웃 스위치 |
COS |
과전류를 차단하여 기기(변압기)를 보호 |
◉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AT): 15 20 30 40 50 75 80 100 125 150 175 200 250 300A ...
◉ 변압기 정격(표준)용량: 5 7.5 10 15 20 30 50 75 100 150 200 300 500 750 1000KVA ...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선로에서 애자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 (0) | 2015.03.27 |
---|---|
[스크랩] << 전기기사 실기(단답) >> (0) | 2015.03.27 |
[스크랩] ◆ 전기 기사 실기 요점정리 ◆ (0) | 2015.03.27 |
[스크랩] [엔트출판사 기준] 단답정리 (0) | 2015.03.27 |
[스크랩] 마스터K 10S1 입문 1. (0) | 201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