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기준] 무단배포금지 (프린트사용가능)
● 수변전설비 기계기구의 약호 및 기능(역할) 또는 용도(목적)
• CH(케이블헤드) : 가공전선과 케이블 단말 접속
• DS(단로기) : (기능) 무부하 전로개폐, 회로의 접속변경
(용도) 고장수리 및 점검시 전로 개방
• LA(피뢰기) :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차단 • PT(계기용변압기) : (기능)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 및 계전기에 전원공급
• CT(계기용 변류기) :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용도)계기 및 계전기에 공급
• CB(차단기) : 부하전류 개폐 및 고장전류 차단
• TC(트립 코일) : 보호계전기 신호에 의해 차단기 개로
• OCR(과전류 계전기) : 과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차단기
트립코일 여자시킨다.
• GR(지락 계전기) : 지락 사고시 지락전류에 의해 동작
• MOF(계기용 변성기) :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해 PT와
CT를 하나의 함에 내장한 것.
최대수요 전력(량)계(DM)와 무효전력량계(VARH)에 전달
☞ 주의할 것
․ WH - 적산전력량계(적산전력계 아니다)
․ DM - 최대 수요전력(량)계 (MDW최대수요전력량계)
․ VAR - 무효전력계 ․ VARH - 무효전력량계
• COS(컷아웃스위치) : 기계기구를 과전류로 부터 보호하고
사고확대 방지
무부하시 전로개폐 및 고장전류 차단
• PF(전력퓨즈) : ㉠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
㉡ 단락전류 및 고장전류 차단하여 사고확대 방지
• ASS(자동고장구분계폐기) : 과부하시 단락전류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INT S/W : 과부하시 단락전류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수동조작만 가능하며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갖 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이하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
• 개폐기 : 전동기의 기동정지
• ZCT(영상변류기)[+GR] : 지락 사고시 영상전류 검출
• GPT(접지형 계기용변압기) : 지락사고시 영상전압 검출
● 중요 계전기 기구 번호[U(OT)SOCOODR]
27 UVR (부족전압계전기) : 부족전압이 아니라 상시전원
정전시 동작
47 OPR (결상계전기) : 3상중 1상 단선사고시 동작
49 (회전기 온도계전기) THR (열동계전기)
OL(과부하계전기) : 과부하시 전동기보호
(단락사고시는 동작 안하고, 단락사고는 MCB가 보호한다)
50 SGR (선택지락계전기) : 다회선 배전선로에서 지락사고시 지락회선을 선택 차단한다
51 OCR (과전류계전기)( 51G OCGR 지락과전류계전기) :
정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동작
52 CB (교류차단기) 59 OVR (과전압계전기)
64 OVGR (지락과전압계전기) (+GPT가 한세트다)
67 DGR (방향지락계전기)
87 RDF (비율차동계전기)-내부고장 검출보호
(87T-주 변압기 보호용 87G-주 발전기 보호용)
[전기기사실기 암기신공]
정렬순서 : 동일기준으로 나열함.
● 수변전 설비 참고
① 전력퓨즈는 6.6[KV]이상에 사용
② 특고수전설비결선도에서 DS 대신 자동고장구분개폐기
(7,000[KVA]초과시에는 Sectionalizer)를 사용할 수 있으 며 66[KV]이상은 LS를 사용하여야 한다
③ 특고수전설비결선도에서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방식(CTD)이 바람직하며 66[KV]이상의 수전
설비에는 직류(DC)이어야 한다
④ 22.9(KV-Y) 1000[KVA]이하인 경우에는 간이수전설비결
선도에 의할 수 있다.
⑤ 특고간이수전설비결선도에서
㉠ 300[KVA]이하의 경우에는 자동고장구분개폐기 대신
INT S/W를 사용할 수 있다
㉡ 300[KVA]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비대칭 차단전류
10[KA])를 사용할 수 있다.
㉢ 22.9[KV-Y]용의 LA는 Disconnector(또는 Isolator)붙 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 전선이나 케이블 약호 명칭
•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 IV 600[V] 비닐절연전선
• RB 600[V] 고무절연전선
• HIV 내열용 비닐절연전선
• D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 GV 접지용 비닐 전선
• VV 비닐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 VVF 비닐절연 비닐외장 평형 케이블
• C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CVV 제어용 비닐절연 비닐외장 케이블 (05)
• VVF 비닐절연 비닐외장 평형 케이블
• CNCV 동심중심선 차수형 케이블
• CNCV-W(수밀형) : 동심중심선 수밀형 전력케이블
• TR-CNCV-W(트리억제형) : “ 트리억제형 ”
• FR CNCV-W : 동심중심선 수밀형 저독성 난연 전력케이블
☞ 주의할 것
․ E - 접지극 붙이
․ ET - 접지단자 붙이
․ EL - 누전차단기 붙이
․ T - 걸림형
․ LK - 빠짐방지형
․ BE : 과전류소자붙이 누전차단기 (산업96)
․
4각박스 - 3방출이상
8각박스 - 3방출이내
● 부등율 • 부하율 • 수용율 관계
• 변압기용량[KVA]≥ 합성최대수용전력 [설*수/부등*역율]
= 개별부하의 최대수용 전력의 합계/부등율
= 설비용량[KVA]×수용율 / 부등율*역률
<부등율> [부등합개] (91,98,04)
• 부등율 : 최대전력 발생시각의 분산 지표로
개개의 최대수용전력의 합계를 합성최대수용전력
으로 나눈값.
[전소동] (즉, 전력소비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정도)
• 부등율이 크다는 의미는 [부등공부]
- 부하율이 향상되어 설비의 이용율이 높아진다
- 공급설비가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다.
(04) - 최대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시간대가 다르다
<부하율> [부하최평]
• 부하율=평균전력[kw]/최대전력[kw]×100[%]
• 부하율 [전소유] : 전력소비기기를 유효하게 사용하는 정도 최대전력에 대한 평균전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
•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는(95-11) [부하공부]
① 공급 설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② 평균 수요전력과 최대 수요전력과의 차가 커지게
되므로 부하설비의 가동률이 저하된다.
③ 첨두부하가 짧은 시간에 크다.
<수용율> [수용설최]
• 수용율=최대수용전력[kw]/설비용량[kw]×100[%]
• 수용율 : 수용설비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로 설비용량에
● 전력퓨즈(Power fuse) : 6.6[KV]이상에 사용
퓨즈 과부 정3사전 고릴소가소 재동용차비
가) 전력퓨즈의 기능(역할) 2가지 [과부] (02.06)
①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
②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시킨다.
나) 전력퓨즈 구입시 고려해야 할 사항? 4가지 [정3사전]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④ 사용장소
⑤ 전류차단 시간특성
다) 전력퓨즈 장점 [고릴소가보소] (91,94)
① 고속도 차단
② 릴레이, 변성기 불필요
③ 소형, 경량이다
④ 가격이 싸다.
⑤ 보수가 간단하다.
⑥ 소형으로 큰차단용량
라) 전력 퓨즈의 단점 [재동용차비] (94,95,97)
① 재투입 할수 없다.(가장 큰 단점)
② 동작시간을 조정할 수 없다.
③ 과도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
④ 차단시 이상전압이 발생한다.
⑤ 비보호 영역이 있다.
마) 전력퓨즈 선정시 고려해야 할 특성 [변과보충] -산업96
① 변압기 여자돌입전류에 동작하지 말것
②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것
③ 보호기와 협조를 가질것
④ 충전기 및 전동기 기동전류에 동작하지 말것
바) 전력퓨즈의 성능(특성) 3가지 [전단용] (06)
① 전차단 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용단 특성
● 한류형 전력퓨즈의 특성 [한차허용]
① 한류특성 : 단락 전류가 흐르게 될 때 그 단락 전류를
어느 정도까지 적게 억제하는가를 나타낸 것부터
아크가 소멸 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② 차단 특성 : 퓨즈에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 할 때부터
아크가 소멸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③ 허용특성 : 어느 시간 통전하여도 용단 특성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전류의 한계와 시간의 관계
④ 용단 특성 : 과전류가 흐르기 시작할 때부터 강체가
용단하여 아크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과 전류의
관계
● 고압용퓨즈의 용도 : 고장전류차단
cf) 고압용퓨즈+진공개폐기 → 전동기 주전원개폐
● 고압이상에 사용되는 차단기 종류 3가지 [가유진공]
① 가스차단기 ② 유입차단기
③ 진공차단기 ④ 공기차단기
ACB : 기중차단기로 저압회로에 사용
ABB : 공기차단기로 특별고압용 차단기로 사용
● 차단기의 정격 단시간 전류? (92-3)
정격단시간 전류는 그 전류값을 규정된 회로조건하에서 규정
된 시간 동안 차단기에 흘려도 차단기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전류를 말한다.
● 차단기 등급
구분 |
OCB |
MBB |
VCB |
ABB |
GCB |
66KV급 |
○ |
○ |
○ (최근용) |
× (수용가용이 아님) |
× |
22.9KV급 |
○ |
× (고압전용) |
○ |
△ |
○ |
콘덴서가 있을 경우 |
× |
○ |
○ |
× |
○ |
● 과전류 차단기 시설제한 장소 3가지 [과전류-접다저]
① 접지공사의 접지선
② 다선식 전로의 중성선
③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 차단기 보호계전기 4요소 [4요소-전압전류, 2전류] (07)
① 단일 전압 요소 ② 단일 전류 요소
③ 전압 전류 요소 ④ 2전류 요소
⑤ 위상 및 방향요소 ⑥ 임피던스요소
과전류, 부족전압, 과전압, 지락
● 차단기 트립 전원방식 [직콘과부] (00.05)
① 직류전압 트립방식
: 축전지 직류전원의 에너지에 의한 트립되는 방식
(※최근 가장 많이 사용, 여러번 사용가능)
② 콘덴서 트립방식 : (축전지 전원이 없는 주회로에서)
: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서 트립
되는 방식 (1회용)
③ 과전류 트립방식 : 차단기의 주회로에 접속된 변류기
2차전류에 의해서 트립되는 방식
④ 부족전압 트립방식 : 부족전압 트립 장치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의 저하에 의하여 트립 되는 방식
● 각종 개폐기의 기능비교표 [퓨차개단전촉]
|
정상시 |
사고시 | ||
무부하시 |
부하시 |
과부하시 |
단락 | |
퓨즈 (PF) |
○ |
|
|
○ |
차단기 (CB) |
○ |
○ |
○ |
○ |
개폐기 (KS) |
○ |
○ |
○ |
|
단로기 (DS) |
○ |
|
|
|
전자접촉기(MC) |
○ |
○ |
○ |
|
전자개폐기 |
○ |
○ |
○ |
|
cf) 한시→과부하시 단락→순시
cf) 수리점검 시 차단기는 부하전류를 차단하고
단로기는 무부하 전류를 차단한다.
● SF6 가스 특징 [소절절안무] (06)
① 소호능력이 높다. (공기의 약 100배)
② 절연내력이 높다. (공기의 약 2-3배)
③ 절연성능이 우수한 (불활성 가스)
④ 안정성이 뛰어난 불활성가스다
⑤ 무색, 무취, 무해이며 독성이 없다.
● 가스절연개페기(GSI)의 장점3가지?[소절절] (06)
① 소호능력이 높다. (공기의 약 100배)
② 절연내력이 높다. (공기의 2~3배)
③ 절연성능이 우수한 불활성 기체
[조명설비]
광속 F[lm] : 광원으로 부터 발산되는 빛의 양
광도 I[cd] :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입체각당
발산되는 광속 [광도입체발산광속]
조도 E[lx] : 피조면의 단위면적당 입사 광속 [조도입사]
휘도 B[sb] : 광원의 임의의 방향에서 바라본 단위
투영면적당 광도 [휘도투영광도]
광속발산도 R[rlx] : 발광면의 단위면적당 발산 광속
● 조명용어의 정의 및 단위
① 광속 : 빛의 양 F[lm]
② 광도 : 광원의 밝기(빛의 세기) I[cd]
③ 조도 : 피조면의 밝기 E[lx]
④ 휘도 : 눈부심 정도(표면의 밝기) B[sb][nt]
⑤ 광속발산도 : 물체표면의 밝기 R[rlx]
● HID램프 (고휘도 방전램프) 종류 [나메수초크]
① 고압 나트륨등
② 메탈 할라이드 램프(등)
③ 고압 수은등
④ 초고압 수은등
⑤ 고압 크세논 방전등
● 효율이 높은순서 [나메형수할백]
① 나트륨등 (저압나트륨등 효율이 최고) 80~150
② 메탈 할라이드 램프(등) 75-105
③ 형광등 ----------------- 48~80
④ 수은등
⑤ 할로겐 램프
⑥ 백열등
● 조명설비에서 전력 절약방안 [고3 적조적조 재격창]
① 고역율 등기구 채용
②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③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④ 적정 조명방식 채용
⑤ 조광제어 실시
⑥ 적정 조명기구 채택
⑦ 조명율, 보수율 향상
⑧ 재실감지기 채용
⑨ 격등제어 실시
⑩ 창측 개별점등
● 플리커 현상이 생기는 경우[플리커-필라인가] (91)
① 필라멘트 온도저하
② 인가전압에 고조파가 포함된 경우
● 열음극 형광등과 비교한 슬림라인 형광등의 장점과 단점
• 장점 [점등3 전압양광] (98,05)
① 점등관등 기동장치가 필요없다.
② 점등시간이 짧다
③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④ 전압변동에 의한 수명단축이 없다.
⑤ 양광주가 길고 효율 좋다.
▶양광주란 : 플나즈마 상태의 발광부
• 슬림라인 형광등 단점 3가지 [점등(전압)음극접촉]
① 점등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음극이 손상되기 쉽다.
③ 전압이 높아 접촉시 위험하다.
● 조명설비 조도가 시설 당시보다 떨어지는 이유?[전조반]
① 전등의 노화
② 조명기구 효율감소
③ 실내의 반사율 감소
● 백열등을 형광등과 비교시 장점3가지 [연기역] -산업기사
① 연색성이 우수하다
② 기동시간 짧다.
③ 역율이 좋다
● 조명계측기의 4가지 [조광휘광]
조도계, 광속계, 휘도계, 광도계
● 도로조명 설계시 고려사항 [조조휘노주] (03,05)
※ 도로조명의 목적 : 도로조명은 야간 도로이용자의 시환경
을 개선하여 안전하고 원활, 쾌적한 도로교통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도로 조명설계 성능상 고려사항 6가지 [조3휘노] (05)
① 조명기구의 눈부심이 적을 것
②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적절할 것
③ 조명시설이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④ 휘도 차이에 따른 적정한 조도균제도를 확보할 것
※ 균제도는 1/3이 적당하고 국부조명은 1/10 적용
⑤ 노면의 휘도가 충분히 높을 것
※ 조명기구의 특성[휘기배] : 휘도특성, 기구효율특성,
배광특성
● 플리커 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전원측과 수용가측 대책
• 전원측 [전공단] : (05)
①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 전용변압기로 공급
② 공급전압을 승압한다.
③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 수용가측 [직부직] :
① 직렬 콘덴서 설치
② 부스터 설치
③ 직렬 리액터 설치
● 조명설비의 깜박임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 (05)
① 백열등 :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② 3상전원 :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위상이 120도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한다.
③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 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한다.
● 적외선 전구에 대해서? (93,07)
• 사용용도 : 염색,인쇄공업의 표면건조
• 주로 250[W]크기로 사용한다.
• 효율은 75[%]정도이며
• 필라멘트의 온도는 2500[°K]정도
• 빛의 파장은 1~3[μm]이다
● 건축화조명 [다운천장 루버부드러 코오모서리]
① 다운라이터 - 천장에 구멍을 뚫어 전구를 안착시킨 후
빛을 아래로 투사시키는 방식
② 루버 조명 - 부하 조명기구를 사용해서 빛을 부드럽게 하는 조명방식
③ 코퍼라이터 - 여러 형태의 조명기구를 이용해서
단조로움을 피하는 조명방식
④ 밸런스조명-벽면을 밝은 광원으로 조명하는 방식
⑤ 코오니스 조명 - 벽면 상방 모서리에 숨겨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직접 벽면을 조명하는 건축화조명
● 습기장소, 노출배선장소, 은폐장소, 점검불가능한 장소
적용가능한 배선방법 4가지 [합금234]
① 합성수지관 배선
② 금속관 배선
③ 2종 가요전선관
④ 3종, 4종 클로로프렌 캡타이어 케이블
● 옥내 저압배전 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3대 요소 [허기전]
① 허용전류
② 기계적강도
③ 전압강하
● 전동기 리액터 기동방식 (90)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기동법
● 공급전원에는 아무 이상이 없는데도 농형3상유도전동기가
전혀 기동되지 않고 있을 때 그 원인? [3기공회결코]
① 3선중 1선이 단선된 경우
② 기동기의 고장
③ 공극의 불균등
④ 회전자 도체의 접속불량 (회전자 접속불량)
⑤ 결선의 오접속 결선
⑥ 코일의 단선 및 소손
●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방식 4가지 [반분콘세] (04)
① 반발 기동형
② 분상 기동형
③ 콘덴서 기동형
④ 세이딩 코일형
▶분상기동형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한다.
● 전력계통의 절연협조? (99,03,07)
• 설명 : 보호기와 피 보호기의 상호 절연의 협조 관계
• 기준충격절연강도 비교 [선결기변피]
① 선로애자 (920kv)
② 결합콘덴서 (900kv)
③ 기기부싱 (825kv)
④ 변압기 (750kv)
⑤ 피뢰기 (625kv)
● 절연협조 : 계통내의 각 기기, 기구 및 애자등의 상호간에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함으로써 계통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을 절연협조라 한다.
★ 중성점 직접접지계통에 인접한 통신선의 전자유도장해 경감 에 관한 대책? [14점] (동일218P, 요19P) (97, 99)
가. 근본 대책 [전기선통] : 지중케이블화 한다.
① 전자유도 전압의 감소 (근본대책 답)
② 기 유도전류의 감소
③ 선로 병행 길이 감소
④ 통신선과 전력 선간의 상호인덕턴스 감소
나. 전력선측 대책(5가지) [ 전력 - 송중고차지연계]
① 송전선로를 가능한 한 통신 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건설한다.
② 중성점을 저항 접지할 경우에는 저항값을
가능한 한 큰값으로 한다.
③ 고속도 지락 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⑥ 연가를 실시한다.
⑦ 계통을 변경한다.
다. 통신선측 대책(5가지) [절연통배전]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할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성능이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 한다.
● 코로나 현상 [전선임계공기절연]
전선로나 애자부근에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가해지면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낮은 소리나 엷은
빛을 내면서 방전되는 현상
㉠ 나쁜영향 4가지 [코전통잡소]
① 코로나 손실 발생
② 전선이 부식
③ 통신선의 유도장해
④ 코로나 잡음으로 인한 전파장해
⑤ 소호리액터의 소호능력을 저하
㉡ 방지대책 : 전선주위의 전위경도를 낮춤으로써 코로나
임계전압을 상승시켜 코로나 발생을 방지한다.
①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② 복(다)도체 방식을 채용한다.
③ 가선금구를 개량한다.
● 복(다)도체 방식의 장단점 (03)
• 장점 [송코안]
① 송전용량 증대
② 코로나 손실 감소
③ 안정도 증대
• 단점 [건꼬단]
① 건설비 증가
②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
③ 단락시 대전류 등이 흐를때 소도체 사이에 흡입력
발생
●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이유 [수도보뇌] (95,00)
① 수용밀도가 높은 지역에 공급하는 경우
② 도시의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③ 보안상의 제한 조건 등으로 가공 전선로를 시설할 수
없는 경우
④ 뇌 ․ 풍수해 등에 의한 사고에 대한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 지중케이블 포설방법 3가지 [직관암] (06)
①직접매설식 ②관로식 ③암거식
★ 지중전선로 전선 - 케이블
[변압기]
△-제3고조파를 제거하여 기전력의 파형개선 (Іℓ=√3Іp)
Y-중성점을 접지 할 수 있어 이상전압방지 (Vℓ=√3Vp)
★ △-△ 결선방식의 장단점 3가지 (07)
• △-△ 장점 [△V대전류]
① △결선내 제3고조파 순환하므로 정현파 기전력이
유기된다
② 1대가 고장시 2대로 V결선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③ 각 변압기의 선 전류가 상전류의 √3배 (Іℓ=√3Ip)
크므로 대전류에 적당하다.
• △-△ 단점 [중(지)지상권]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어 지락전류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 지락사고시 이상전압 발생이 높다
③ 상전압이 높아 권수 증가하며, 절연레벨이 높아진다.
④ 권선전압이 높아 코로나 손실 크다.
⑤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⑥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 △-Y결선 (=Y-△) 결선방식의 장단점? [기사10점]
• 장점
① △결선이 있어 제3고조파 순환하므로 정현파 기전력이
유기된다
② Y측 중성점 접지로 이상전압 발생이 적다
③ Y-△결선은 강압용으로 △-Y결선은 승압용으로
사용할수 있어서 송전계통에 융통성 있게 사용 된다.
• 단점 [11중]
① 1,2차 선간전압 사이에 30°의 위상차가 생긴다.
② 1상에 고장이 생기면 전원공급이 불가 하다.
③ 중성점 접지로 인한 유도장해를 초래한다.
cf) Y-△결선
- 30°위상차 생기고→순환전류가 흘러→열이 발생한다.
- Y 결선이 △ 결선보다 30°위상이 앞서고
- △ 결선이 Y 결선보다 30°위상이 늦다.
● Y-Y 결선방식의 장단점?
• 장점 [중변고역V]
① Y측 중성점 접지로 이상전압 발생을 경감시킨다.
② 변압기 절연이 용이하다
③ 고전압에 유리하다.
④ 1상 사고시 역V결선이 가능하다.
• 단점 [333]
① 제3고조파 통로가 없다.
② 3고조파 함유 통신 유도장해 발생
③ 3상전압 불평형이 발생한다.
● V-V 결선방식의 장단점?
• 장점 [1대 설치 소용량]
① △-△결선에서 1대의 변압기 고장시 2대만으로도 3상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② 설치방법이 간단하고, 소용량이며, 가격이 저렴하므로 3상 부하에 널리 이용된다.
• 단점 [설비이용율, 출력, 불평형]
① 설비이용률이 86.6[%]로 저하된다.
② △결선에 비해 출력이 57.7[%]로 저하 된다.
③ 부하의 상태에 따라서 2차 단자전압이 불평형이 될 수
있다.
● 변압기의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3가지? [경부역] (93)
① 경부하운전
② 부하변동이 심한 경우
③ 역률저하
● 단상변압기 병렬운전조건 [극 / 정권 / %임 / 저누] (01)
① (각 변압기의) 극성이 같을 것
② 1,2차 정격전압 및 권수비 같을 것
③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④ 저항과 누설리액턴스 비가 같을 것
▶ 3상인 경우 ⑤상회전방향이 같을 것⑥위상변위가 같을 것
● 대용량 변압기의 이상이나 고장 등을 확인 또는 감시할 수
있는 변압기 보호장치는? [보호-유비방브충] (95)
① 유온계
② 비율차동계전기
③ 방압장치
④ 브흐홀쯔계전기
⑤ 충격압력계전기
● 단권변압기를 보통의 변압기와 비교한 장단점? (96,99)
• 용도 [승압강압기동]
①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② 기동보상기 ③ 초고압용 전력용 변압기
• 장점 [전동권소]
① 전압변동이 적어진다.
②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③ 권선량이 감소하여 경제적이다
④ 소형, 경량이다
• 단점 [단락,1차이상]
①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측에 이상전압이 발생시 2차측에 고전압 발생
● 계기용 변압기 1차측 및 2차측 퓨즈 부착여부 및 이유?
① 1차측 - 부착 (PT단락시 계통보호)
② 2차측 - 부착 (절연파괴 시 조작자위험방지)
★ H종 건식 변압기를 유입변압기와 비교한 장점 4가지?
[H-화소절유과] (99,03,05)
① 화재발생 우려가 적다.
② 소형, 경량화 가능
③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⑤ (단락 및) 과부하 내량이 크다.
● 변압기를 과부하로 운전할 수 있는 조건 5가지
[과부하-주온단부냉] (산업93,06)
① 주위온도 낮은경우
② 온도상승 시험값이 여유가 있을경우
③ 단시간 사용하는 경우
④ 부하율이 저하되었을 경우
⑤ 냉각방식이 좋은 경우
● 최근 변압기는 효율이 향상되고 소형경량화 되고 있다
주된 이유 6가지 예를들어 설명하시오. (산업12점-94)
[고3냉절철]
① 고효율 변압기 개발 (몰드변압기등)
② 고전압화 되어 권선량 감소
③ 고배향성 규소 강판 사용으로 철손의 감소
④ 냉각방식 변경에 따른 소형화
⑤ 절연물의 절연성능 향상에 따라 두께가 감소
⑥ 철심의 자속향상
● 변압기 절연유 구비조건 4가지 [냉절인응점] (산업06)
① 냉각효과가 클 것
② 절연내력이 클 것
③ 인화점이 높을 것
④ 응고점이 낮을 것
⑤ 점도가 낮을 것
● 옥외용 변전소내의 변압기 사고종류? [권선단락절연혼촉B]
① 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②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③ 권선의 단선
④ 고저압 권선의 혼촉
⑤ Bushing Lead선의 절연파괴
● 단락비가 큰 기계는 ( KS大 = %Z? ε? e? IS? )
[기가철안전효송]
① 기기의 치수가 크고
② 가격은 높고
③ 철손 및 기계손이 크고
④ 안정도가 높고,
⑤ 전압변동율은 작고
⑥ 효율은 (낮다). (용도-수차발전기)
⑦ 송전충전 용량 크다.
★ 자가용전기설비 중요검사(시험) 3가지 [절접계절외계절]
① 절연저항시험
② 접지저항시험
③ 계전기동작시험
④ 절연내력시험
⑤ 외관검사
⑥ 계측장치 설치상태 검사
⑦ 절연유 내압시험 및 산가측정
★ 발전기의 병렬운전조건 [발전기-주파윙크] (04)
①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④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 자가발전기 가까운 곳에 시설해야 할 것 4가지 (06)
[자가발전기-개과전전]
① (각 극에) 개폐기 설치한다.
② (각 극에) 과전류차단기 설치한다.
③ 전압계 : 각 상에 설치한다.
③ 전류계 : 각 선에 설치한다.
● UPS [상A무부 절컨인 발축] (02,05)
: UPS는 축전지, 정류장치와 역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로의 정전이나 입력전원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전력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설비를 말한다.
[상용전원-자동전압조정기(AVR)-절체스위치-부하]
① 절체스위치: 상용전원 정전시 인버터 회로로 절체 되어
부하에 무 정전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
② Bypass Transformer를 설치하는 이유
⑴ 회로의 절연
⑵ 교류입력의 전압과 부하의 정격전압이 다를 경우 전압
의 크기를 같게 하기 위하여 사용
● 축전지의 충전방식 4가지 [충전-부보급세균] (03)
(축전지 : 충전장치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원을 저장)
★① 부동충전방식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상시부하는 충전기가 부담하고
일시적인 대전류는 축전지가 부담한다
② 보통충전
③ 급속충전
④ 세류충전
⑤ 균등충전 :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한 방식
★ 연축전지의 고장에 따른 현상의 추정원인?(현상⇒원인)
1) 초기 고장 :
① 전 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부동충전전압이 낮다 (축전지 충전부족)
2) 우발 고장 : [낮충 높증
① 전(全)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 한 경우
② 전 셀의 비중이 높다
⇒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액면저하로 극판이 노출된다)
③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 충전전압이 높고 실온이 높을 경우
④ 전해액의 변색, 충전하지 않고 방치 중에도 다량의 가스가 발생 ⇒전해액 불순물 혼입
cf) 만약 알칼리축전인 경우는 전압강하, 용량감퇴
⑤ 단전지 전압의 비중이 저하되고, 전압계가 역전하였다
⇒축전지의 역접속
⑥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상승 또는 소손
⇒충전장치 고장, 과충전, 액면저하로 인한 극판노출, 교류분 전류의 유입
★⑦ 설페이션현상 ⇒충전이 부족할 때 극판에 발생하는 현상
⑴ 극판이 백색으로 되거나 백색반점이 생긴다
⇒방전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한 경우
⑵ 비중이 저하하고 충전용량이 감소한다.
⇒방전 전류가 대단히 큰 경우
⑶ 충전시 전압상승이 빠르고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한다.
⇒불충분한 충전을 반복하는 경우
● 알칼리축전지의 장단점? [알카-충방사진수] [단공가방]
• 장 점 ① 충 ․ 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② 방전시 전압변동이 적다.
③ 사용온도 범위가 넓다.
④ 진동과 충격에 강하다.
⑤ 수명이 길다. (연 축전지의 3~4배)
• 단 점 ① 단자전압이 낮다
② (연축전지보다) 공칭전압이 낮다.
(연축전지-2.0[V] 알카리-1.2[V])
③ 가격이 비싸다
④ 방전시간 낮다. (연10 알5)
★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 [축전지-축제보충] (06)
① 축전지 ② 제어장치 ③ 보안장치 ④ 충전장치
★ 접지용구를 사용하여 접지하고자 할 때 [무충변여] (02)
• 접지순서 : 접지측금구를 접지극(대지)에 접속한 후
선로측금구를 연결한다.
• 접지개소 : 선로측A와 부하측B 양측에 접지한다.
• 긴급시 단로기(DS)로 개폐 가능한 전류?
① 무부하 충전전류(진상) [무충]
② 변압기 여자전류(지상) [변여]
● 변전설비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 용량은 무엇으로
정하는가? (산업94)
(차단기 설치점에서의 단락용량)
● 교류차단기의 동작 책무란? (산업96)
차단기가 계통에서 사용될 때 차단-투입-차단 동작을
반복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 일련의 동작을 규정
● 여자돌입전류에 대한 오동작방지법 [감고비] (06)
① 감도저하법 (답이다)
② 고조파억제법
③ 비대칭파저지법
★ MCC의 기기 구성 장치 [차기제역] (07)
①차단장치 ②기동장치 ③제어및보호장치 ④역률보상장치
● 배전용 변전소 접지목적과 접지개소 (90,97)
• 목적[감기보]
① 감전방지 : 기기의 절연열화나 손상 등으로 누전이 발생하면 전류가 접지선으로 흘러 기기의 대지
전위 상승이 억제되고 인체의 감전 위험이 줄
어들게 된다.
② 기기의 손상방지 : 뇌전류 또는 고 저압 혼촉 등에
의하여 침입하는 고전압을 접지선을 통해 대지
로 흘러보내 기기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
③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 지락 사고시에 일정크기
이상의 지락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지락계전기
등의 동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 접지개소 [피고저변P]
① 피뢰기
② 고압, 특별고압 기계기구의 철대의 외함
③ 저압 금속제 외함
④ 변압기 2차측 1단자 또는 중성선
⑤ PT, CT 2차측 전로
● 피뢰기 구비조건(=직렬갭+특성요소) [제충속상방] (04)
① 제한전압이 낮을 것
② 충격 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③ 속류차단능력이 클 것
④ 상용주파 방전개시 전압이 높을 것
⑤ 방전내량이 클 것
● 피뢰기 정격전압 [속차교최]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전압
● 피뢰기 제한전압 [피방단자충격]
- 피뢰기 방전중 피뢰기 단자에 남게되는 충격전압
● 피뢰기 설치장소 [가발배고]
① 가공전선과 지중전선과의 접속점
② 발 변전소의 인입구 및 인출구
③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 측
④ 고압 및 특고압으로부터 수전받는 수용가의 인입구
● 피뢰기 구매시 고려사항? [전공사정]
① 전압-전류특성
② 공칭방전전류
③ 사용장소
④ 정격전압
● 갭레스형 피뢰기의 주요특징 [직속속] (99)
① 직렬갭이 없음으로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속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잘 견딘다.
③ 속류에 따른 특성요소의 변화가 적다.
● 피뢰침 접지가 타 접지와 공용이 안 되는 이유? (00)
낙뢰에 의한 이상전압 침입시 피뢰기의 접지선을 통해
다른기기 및 기구에 침입하여 계통의 사고가 확대되는 것 을 방지한다.
● 단락시험 및 무부하시험(개방시험) 회로 (01)
[단락-임%Z동] [무부하-철손] (기사14점 동일399P)
① 임피던스전압 [임2단락=정격전류]
2차측을 단락 시키고 슬라이닥스를 서서히
조정하여 전류계 지시값이 단락전류가
정격전류와 같게 되었을 때의 전압을 말한다.
② %임피던스 [임피/1차전압]
1차 전압에 대한 임피던스 전압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③ 동손 [1차측입력]
이때, 1차측 입력(전력계지시)을 임피던스와트
즉, 동손이라 한다.
④ 철손 [2개 2정격전압]
2차측을 개방하고 슬라이닥스를 서서히 조정하여
2차 정격전압 값일때 전력계 지시값
이 무부하손(철손)이다.
⇒ 변압기 효율 구하는 방법 설명
단락시험에서 동손을 구하고 무부하 시험에서 철손을 구하여
효율=출력/입력(출력+손실[동손+철손]) 식에 의해 구한다.
⇒ Іs=100/%Z×ІN 에서
① %임피던스가 작으면 단락전류는 커지고
② %임피던스가 크면 전압변동이 커진다.
● 저항측정방법이나 측정계기 [캘휘콜메] (93,98,01)
[캘휘콜메-나수액절]
① 캘빈더블 브리지법 : 굵은 나전선의 저항
② 휘이스톤 브리지법 : 수천 옴의 가는 전선의 저항
③ 콜라우시 브리지법 : 전해액의 저항
④ 메거법 : 옥내 전등선의 절연저항
● 주상변압기의 무부하시험 (03)
• 유도전압조정기+(주파수계)
• 2차측은 (개방)상태에서 시험한다
• 유도전압조정기의 핸들을 서서히 돌려 전압계의 지시값이 1
차정격전압이 되었을때 전력계가 지시하는 값은(철손) 이다
● 전력용콘덴서(기능-앞선 무효전력을 공급하여 부하측 역률 개선)와 함께 설치되는 방전코일과 직렬 리액터의 용도, 용 량 결정기준?
• 방전코일 : ①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 전하를 방전시켜 잔류 전하로 인한 인체의 감전사고를 방지
② 재투입 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을 방지
• 직렬리액터[직고]
① 용도 ⑴ 제 5 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개선
⑵ 콘덴서 투입 시 돌입전류 방지
⑶ 개폐 시 계통의 과전압억제
⑷ 고조파 전류에 의한 계전기 오동작방지
② 용량결정기준 : 제5고조파의 공진조건에 의해서
⇒ 5wL=1/5wC에서 wL=1/25×1/wC=0.04×1/wC
⇒ 이론상-콘덴서 용량의 4[%]
실제상-콘덴서 용량의 6[%](2%여유)
※ 본선에 직접접속하고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차단기
등을 시설해서는 안 된다.
● 경 부하시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 결점 3가지
[앞모설고] (99,04)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전압의 과상승
③ 설비용량이 감소하여 과부하 될 수 있다.
④ 고조파 왜곡의 증대
● 역률 과보상시 나타나는 현상 [역계단고] (03)
① 역률의 저하 및 손실의 증가
② 계기전기 오동작
③ 단자전압 상승
● 콘덴서설비의 주요사고원인 [모배절] (91)
① 콘덴서 모선의 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내부 배선단락
③ 콘덴서 절연파괴
● 불평형 부하의 제한
①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 3상3선식 또는3상4선식에서
설비불평형율이 30[%]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
[불평형 예외규정]
㉠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 특고및 고압수전에서는 100[KVA]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 특별고압 및 고압수전에서는 단상부하 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이하인 경우
㉣ 특별고압수전에서는 100[KVA]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② 저압으로서 단상 3선식은 40[%]를 초과 할 수 있다.
● 접지공사
• 제1종 접지공사 [전계교계유]
① 전력용 콘덴서 외함
② 계기용변성기 외함 (특고압)
③ 교류차단기 외함
④ 계기용변압기 (특고압)
⑤ 유입개폐기 외함
• 제2종 접지공사 : 변압기 2차측 1단자 또는 중성점
• 제3종 접지공사 [방 계3]
① 방식조치를 하지 않은 지중전선의 피복 금속체
② 계기용변성기 외함(고압)
(고압 몰드식형 MOF는 접지 안 해도 됨)
③ 계기용변압기(고압)
④ 계기용 변류기 2차측
● 전기용어 (98,01)
①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의
결선상의 단위
② 수구(受口)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 등의 총칭
③ 한류퓨즈 :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또한
흐르는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퓨즈
④ 접촉전압 : 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기 기구의 금속제
외함등에 인축이 닿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
● 발전기실 건물높이 결정 시 고려사항[유부] (03)
① 발전기의 유지보수 용이
② 발전기 부속설비(연료소출조, 소음기, 환기설비)의
높이 및 설치위치
● 발전시설이 있는 수용가 구비 계전기 [과2부주비] (02)
① 과전류 계전기
② 과전압 계전기
③ 부족전압 계전기
④ 주파수 계전기
⑤ 비율 차동계전기 (200[KVA]이상 반드시 설치,
단 변압기인 경우 5000[KVA] 이상인 경우 설치)
● CT를 단락시키는 이유(00-40) : 2차측 절연보호
→개방시켜서는 안되는 이유 : 고전압 발생으로 인한 2차측
절연파괴로 소손된다
● 전력계통의 리액터 종류[한탄-직고-병페-소아]
①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를 제한하여 차단기 용량을 줄인다.
② 직렬리액터 : 제5고조파를 제거하여 전압의 파형을 개선
③ 병렬(분로)리액터 : 페란티 현상방지
④ 소호리액터 : 아아크를 소멸하고 이상 전압발생 방지
● 교류용 적산 전력계 (00,05)
① 잠동 현상?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주파수 및 정격전압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이상 회전하는 현상
② 잠동현상을 을 막기 위한 유효한 방법은?
ⓐ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③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성 [과부온기내]
ⓐ 과부하 내량이 클 것
ⓑ 부하특성이 좋을 것
ⓒ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내부 손실이 적을 것
● 배전선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자고병] (05)
① 자동 전압 조정기(SVR)
② 고정승압기
③ 병렬콘덴서
●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의 경감대책 [고모직고한계] (05)
① 고 임피던스계를 채택 한다
② 모선계통을 분리 운용 한다
③ 직류연계
④ 고장전류제한기 사용
⑤ 한류리액터를 설치 한다
⑥ 계통전압의 격상
★★ 고조파 전류 발생 주 원인과 그 대책? (01,06,07,08)
• 장해요인 3가지 [변 C변환 전기로]
① 변압기,전동기 여자전류
② Converter, Inverter, Chopperer등의 전력변환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④ 전기용접기
⑤ 전력용 콘덴서
⑥ 송전 선로의 코로나 손실
• 억제대책 3가지 [고조 전력 변압]
① 고조파필터 설치
② 전력변환장치 pulse수를 크게한다.
③ 변압기 결선에 △결선 채용한다
④ 고조파 발생기기 계통 분리
⑤ 전력용 콘덴서에 직렬리액터 설치
⑥ 송전 선로의 코로나 방지위해 복도체 사용
● 부하의 역률 개선 (02)
가. 부하나 변압기에 전력용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면
진상전류가 공급되어 지상전류를 작게 하여 역률을
개선한다.
나. 부하설비의 역률이 저하하는 경우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는? [전3부] (92)
① 전압강하가 크다
② 전력손실이 증가
③ 전기요금이 증가
④ 부하 설비용량이 증가한다.
● 역률 개선효과 [전3설]
① 전압강하 감소
② 전력손실 경감
③ 전기요금 감소
④ 설비용량의 여유 증가
● 무접점릴레이와 비교한 전자릴레이의 장단점? (95,02)
• 장점 [개과 온전가]
① 개폐 부하용량이 크다.
②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③ 온도 특성이 양호하다.
④ 전기적 노이즈에 강하다.
⑤ 가격이 싸다.
• 단점 [소동 접(하면) 기소]
① 소비전력이 크다.
② 동작 속도가 늦다
③ 접점이 소모되어 수명이 짧다.
④ 기계적 충격, 진동에 약하다.
⑤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 비접지 3상 3선식 배전 방식에 대한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
전 방식의 장단점?
• 장점 [이변고지]
① 이중 고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다.
② 변압기 절연을 단절연 할 수 있다.
③ 고저압 혼촉 사고 시 이상전압이 적다.
④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이상전압이 발생 없다.
• 단점 [지락4(에)고통안차]
① 지락전류가 분류되므로 지락전류 검출이 어려워져
고감도 지락계전기가 필요하다.
② 지락전류가 커져서 통신선에 유도장해를 주게 한다.
③ 지락전류가 커서 안정도가 감소된다.
④ 지락전류가 단락전류보다 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차단기 용량이 증대된다.
● Y-△기동은 (96,04,06)
① 기동전압을 1/√3 배 감소, 기동전류가 1/3배 감소시켜
기동특성을 개선한 기동법
② Y결선으로 기동한 후 타이머 설정시간이 지나면
△결선으로 운전한다.
이때, Y와 △는 동시투입이 되어서는 안된다.
● 기동보상기 기동 제어 기동방법 (03)
기동시 전동기에 대한 인가전압을 단권변압기로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써 기동전류를 억제하고,
기동 완료 후 전전압을 가하는 방식
● 리액터 기동방식에 대한 설명
전동기의 전원 측에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걸리는 전압을 감압시켜 기동
하는 방식
● 접지저항의 측정방법 [ 콜 어 ] (05)
① 콜라우시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② 어스테스트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 중성점 접지 저항기 기능(역할) (01,93)
지락사고시 지락전류 억제 및 건전상 전위상승 억제
● 기기정격 (22.9[KV]) (01,05)
• 자동고장구분개폐기 : 25.8[KV], 200[A]
• 피뢰기 : 18[KV], 2500[A]
• COS : 25[KV], 100[AF], 8[A]
● 심야전력용기기 (01,06)
• 타전배전인 : 타임스위치, 전력량계, 배선용차단기
(인입구장치), 전력량계, 인입구장치
• 금케합가 : 금속관공사, 케이블공사, 합성수지관공사,
가요전선관공사
• I=I1+I0×중첩율
(I1 -심야전력부하의 부하전류 I0 -일반부하전류)
● 고속전철에 사용되는 전류 • 전압형 인버터 비교 (04)
구분 |
전류형 인버터 |
전압형 인버터 |
회로상 특징 |
①DC LINK양단에 평 활용 콘덴서대신에 리액터사용 ②인버터부에 SCR사용 |
①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필터사용 ②컨버터부에 3상다이오드 모듈사용 |
전압 |
정현파 |
PWM구형파 |
전류 |
구형파 |
정현파(전동기부하인 경우) |
● 전기재해 3가지?[정전낙] (93-21<16점>)
① 정전기 재해[정설감]
• 정전기 화재(불꽃방전에 의한 화재)
• 설비기능저하(정전기에 의한 흡입작용으로 생산장해)
• 감전(전격에 의한 불쾌감, 감전에 의한 2차장해)재해
② 전기재해[전전아감]
• 전기화재
• 전기 설비의 손괴및 기능 일시 정지
• 아크의 복사열 등에 의한 화상
• 감전(전력에 의한 실신, 전류 발열작용에 의한 체온
상승으로 인한 사망)
③ 낙뢰재해[낙물감]
• 낙뢰화재
• 물체손괴(낙뢰에 의한 전기설비 및 물체손괴)
• 감전(뇌전류에 의한 실신사망)
● 아날로그형에 비해 디지털계전기 장점 5가지 (97,07)
[고소융변신]
① 고성능, 다기능화 기능
② 소형화 가능
③ 융통성이 높다
④ 변성기 부담이 적다
⑤ 신뢰도가 높다.
● 단락전류를 계산하는 것은 어떤 요소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 인가? [기차보] (06)
①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의 추정
② 차단기의 차단용량결정
③ 보호계전기의 정정
●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 4가지
[3보전통] (06)
①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② 보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③ 전력용 기기의 과열및 소손
④ 통신선의 유도장해
● 변전설비 기본 계획 시 고려사항? [신안경주보조] (96)
① 신뢰성
② 안전성
③ 경제정
④ 주변환경고려
⑤ 보수점검유지
⑥ 조작 및 취급
● 2중모선 : 모선점검 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 정전 상태로
할 수 있어 전원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 선전류(=부하전류) ⇒전력은 선전류 구한다.
상전류 ⇒기기는 무조건 상전류 구한다.
● 1선지락사고 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의 변화 (00-1/2)
평상시 건전상의 대지전위는 110/√3[V]이나,
1선 지락 사고시 전위가 √3배 증가하여 110[V]가 된다.
● 타이머 내부 (00,07)
한시동작 순시복귀 a, b 접점으로 타이머가 여자된 후
설정시간 후에 동작하며 무여자 되면 즉시 복귀된다.
● 과전류계전기 동작시험 [한특/최전]
-한시동작특성시험 / 최소동작전류시험
● 유입변압기 흡습제 : 실리카겔(청백색)
● 큐비클 : PF-S 형, PF-CB형
● 서지흡수기(03-14) :
옥내피뢰기로서 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폐서지,
이상전압 등이 2차 기기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위해 설치.
● 과전류 계전기 전류 탭 IT ?(95-16)
IT =부하전류×1/변류비×설정값
● 우선내(雨線內)란?(93-10)
우선내(雨線內)라 함은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서 통상의 경우 비를 맞지 아니하는 부분을 말한다.
● 플로어덕트(91-10)(98-41)
플로어 덕트는 통신선로 혹은 전력선로용 전선(or 케이블)을
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mm]간
격마다 인출구(혹은 인서트)를 갖는 강판제의 덕트이고, 중대
규모의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선의
배선용
● 전선규격 IEC (mm2) 바뀐내용
1.5 - 2.5 - 4 - 6 - 10 - 16 - 25 - 35 - 50 - 70 - 95 - 120 - 150 - 185 - 240 - 300 - 400
● [전력계통]
[공칭전압] / 중성점 접지 방식 / [송전선로/배전선로]
345 유효접지 288
154 유효접지 144
66 소호리액터 접지 또는 비접지 72
22 소호리액터 접지 또는 비접지 24
22.9 중성점 다중접지 21 / 18
(주의) 전압 22,9(kv)이하의 배전선로에서 수전하는설비의
피뢰기정격전압은 배전선로용을 적용한다.
● 수변전 설비 표준결선도 변경 사항들
가) GR 이란 표현대신 OCGR 로 해야 한다
나) AS, VS 추가로 그려야 한다
다) 22.9 (kv -y) 계통은 CNCV-W케이블 (수밀형)
으로 해야한다.
● 허용전류의 종류 [연순단]
① 연속 사용시 허용전류
② 순시 허용전류
③ 단락시 허용전류
● 전력의 측정 및 오차 [332]
① 3전압계 법
② 3전류계 법
③ 2전력계 법
[엔트출판사 기준] 단답정리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선로에서 애자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 (0) | 2015.03.27 |
---|---|
[스크랩] << 전기기사 실기(단답) >> (0) | 2015.03.27 |
[스크랩] 선로나 간선에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생기기가 있을 경우 그 대책을 (0) | 2015.03.27 |
[스크랩] ◆ 전기 기사 실기 요점정리 ◆ (0) | 2015.03.27 |
[스크랩] 마스터K 10S1 입문 1. (0) | 201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