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스크랩] ◆ 전기 기사 실기 요점정리 ◆

즐거운세상위해 2015. 3. 27. 18:57

◆ 전기 기사 실기 요점정리 ◆


전류형 인버터와  전압형 인버터의 차이점

1) 전류형 인버터

DC Link 양단에 평활용 콘덴서 대신에 리액터 사용

인버터부에 SCR사용


2) 전압형 인버터

출력의 맥동을 줄이기 위해 LC필터 사용

컨버터부에 3상 다이오드 모듈 사용


옥내에 건조 ,습, 노출 ,은폐 점검 불가능한 장소등으로 되어 있다면 적용 가능한 배선방법 4가지는 ? (91년)

1. 금속관 배선       2. 합성 수지관 배선

3. 2종 가요전선관   

4. 3종,4종 클로로프랜 캡타이어 케이블


인입구 장치에서 심야전력기기까지 배선공사방법 ?

 금속관 공사 , 케이블 공사 , 합성수지관 공사

 가요전선관 공사


3상 4선식의 옥내 배선 전압측 전선색

 흑- 적- 청 - 백


자가용 전기 설비의 중요 검사(시험)사항을 3가지만 쓰시오.

절연저항 시험, 절연내역시험. 접지저항시험,

계전기 동작시험, 외관검사, 보호장치 동작시험


◆ 자가용 전기 설비에 발전 시설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자가용 수용가에 설치되어야 할 계전기는?

과전류 계전기, 과전압 계전기, 부족전압계전기.

비율차동 계전기, 주파수 계전기




지락 보호 계전기의 종류를 용도 별로 구분하여

  3가지만 쓰시오.

  지락 과전류 계전기, 지락 과전압 계전기

  지락 방향 계전기


SGR이란? 선택 지락 계전기로써 다회선 배전 선로

에서 지락이 발생한 회선을 선택하여 차단.


◆ 과전류 계전기 시험

   물 저항기. 전류계. 사이클 카운터

투입시: 계전기 한시 동작 특성시험

개방시: 계전기 최소 동작 전류시험


전자 릴레이 장/단점 쓰시오

장점 : 과부하 내량이 크다.(과,부,가,온,전)

       부하가 큰 전력을 인출할 수 있음

       가격이 싸다.

       온도 특성이 좋다.

       전기적 잡음이 없이 입출력 분리

단점 : 소비전력이 크다.(소,소,응,가,중)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응답속도가 느리다.

       가동접촉부 수명이 짧다.

       충격, 진동에 약하다.

수변전 단로기는 회로에 흐르는 어떤 종류의 전류를 단로   할 수 있는가?

 무부하 충전전류, 변압기 여자전류


고압 전동기의 조작용 배전반에서 어떤 계전기를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과부족 전압 계전기. 결상 계전기






계기용 변성기는 어떤 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몰드형


동기발전기 병렬운전 조건과 맞지 않을 현상

1. 기전력 다를대 - 무효순환 전류 발생

2. 위상이 다를때 -동기화 전류

3. 주파수가 다를때 -난조 발생

4. 파형이 다를때 - 고조파순환전류 발생

5. 상회전 다를때 - 동기 검정


변압기 효율 떨어지는 경우 3가지는? (93년)

역률저하, 경부하 운전. 부하 변동이 심한 경우

주위 온도 상승


변압기 병렬운전 기술하고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나타는 현상?

각 변압기 % 강하같을것-부하의 분담이 균형을 이룰수 없음

각 변압기 극성 같을것-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소손

각 변압기 1,2차 전격전압, 권수비 같을것-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이 가열 

각 변압기의 내부저항과 누설 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 각 변압기의 전류간의 위상차가 생겨 동손이 증가


입변압기와 비교 H종 건식 변압기의 사용시 이점 (99,03,05년)

(유, 난, 절 소 )

 1. 난연성, 자기소호성으로 화재발생이나 연소의 우려가 적      어 안전성이 높다

 2.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3.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

 4. 소형 경량화 할수 있다.

 5. 과부하 및 단락내량이 크다.





옥외용 변전소내의 변압기 사고 (07년)

1. 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단락

2.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 의한 지락사고

3. 고 저압 권선의 혼 촉

4. 권선의 단선

5. 과부하등에 의한 과열 사고


아날로그-디지털형 계전기 장점 (07년)

1. 고성능, 다기능 가능

2. 소형화 할수 있다.

3. 신뢰도가 높다

4. 융통성이 높다.

5. 변성기의 부담이 작아진다.


전기설비 방폭구조 (07년)

1.내압, 유입 안전증가, 본질안전


유입 변압기와 몰드형 변압기를 비교하였을때

   몰드형 변압기 장단점은 ? (07년)

장점

1. 난연성이 우수하다.

2. 내습, 내진성이 양호

3. 소형 경량화 할수 있다.

4. 전력손실이 적다.

5.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


단점

1. 가격이 비싸다.

2. 충격파 내전압이 낮다.


대용량 변압기의 이상이나 고장등을 확인 또는

있는 변압기 보호장치 (대변 유,방,브,비,충격) (95년)

1. 온계 2. 압장치 3.흐홀쯔 계전기

4. 율차동계전기  5.충격압력계전기




단권 변압기 (96,99년) -2가지씩-

장점 1. 1권선의 변압기이므로 동량을

        줄일수 있어 경제적이다.

     2.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3. %임피던스 강하가 적다.

     4. 전압변동률이 적다.

단점 1. 누설임피던스가 적어 단락전류가 크다.

     2. 1차측에 이상전압 발생시 2차측에도 고전압이

        걸려 위험하다.

용도 1. 승압 및 강압용 단권 변압기

     2. 초고압 전력용 변압기

     3. 기동보상기용 변압기

     4. 실험실용 소용량의 슬라이닥스


ASS와 인터럽터 스위치의 비교 설명

ASS : 무부하시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수

        있는 고장구분개폐기로 돌립전류 억제 기능을 가짐

인터럽터 스위치: 수동조작만 가능하고 용량 300 KVA이하

        의 ASS대신에 주로 사용한다.


고압 이상에 사용되는 차단기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유입 차단기, 진공차단기. 가스차단기


재점호가 발생하지 않는 차단기의 종류 2가지

가스 차단기(GCB), 진공 차단기(VCB)


차단기의 정격 단시간 전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 (92년)

 정격 단시간 전류는 그 전류값을 규정된 회로 조건하에서 규정된

 시간 동안 차단기에 흘려도 차단기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전류를 말한다.


차단기의 정격전압: 차단기에 부과할수 있는 사용회로 전압의상한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 개극시간과 아크소호시간 까지의 합


과전류 차단기 시설제한 3가지

  1. 접지공사의 접지선

  2. 다선식 전로의 중선선

  3.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차단기의 트립방식 4가지를 설명 (00,05년)

1. 직류전압 트립방식 : 축전지등의 직류전원의 에너지에 의하          여 트립되는 방식

2. 과전류 트립방식: 차단기의 주회로에 접속된 변류기의 2차           전류 에 의하여 차단기가 트립

3.   콘덴서 트립방식 :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

4.   부족전압 트립방식 : 부족전압 트립장치로 인가된 전압의 저하       에 의하여 차단기가 트립


표준동작책무

차단기가 계통에 사용될때 차단-투입-차단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그 시간 나타낸 일련의 동작을 규정한것.


SF6가스의 특성

 1. 안정도가 높은 불황성 기체이다.

 2. 무독, 무취 ,불연 기체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는다.

 3. 소호능력이 뛰어나다.(공기의 약 100배)

 4. 절연내력은 공기의 2-3배이다.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반드시

   시설되어야 할것들 4가지 (98, 03년)

  개페기, 과전류 차단기. 전압계 , 전류계

  1. 각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할것.

  2. 전압계는 각 상의 전압을 읽을수 있도록 시설할것.

  3. 전류계는 각 상의 전류를 읽을수 있도록 시설할것.


알칼리 축전지를 연축전지와 비교 알칼리 장점

   2가지 단점1가지 쓰시오. (98,02년)

장점 1. 충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2. 방전시 전압 변동이 적다.

     3. 수명이 길다.

     4. 사용온도 범위가 넓다.

     5. 진동, 충격에 강하다.

단점 1. 축전지에 비하여 공칭전압이 낫다.

     2. 중량이 무겁다.

     3. 가격이 비싸다.


축전지의 충전방식 4가지를 쓰시오. (98,02년)

  급속충전 방식 ,균등충전방식. 부동충전방식, 초충전방식


부동충전방식-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고,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등은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케 하는 방식


축전지 수명

축전지 용량이 규정용량의 80~90%로 저하될 때까지의 총 방전 횟수


연축전지의 고장에 따른 현상에 대한 추정원인 (98년)

1. 초기 고장: 전 셀의 전압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원인: 부동 충전 전압이 낮다(균등충전 부족)

2. 우발 고장: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원인: 충전 전압이 높다. 실온이 높다.


연축전기의 고장현상이 다음과 같을때 이의 추정원인은?

(00,05년) 

1. 전 셀의 전압의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충전 부족으로 장시간 방치한 경우

2. 전 셀이 비중이 높다.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액면저하로 극판 노출)

3.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그냥두어도 다량의 가스 발생

   전해액의 불순물의 혼입


축전지의 다음과 같은 현상일때 그 추정원인 (96년)

 - 극판이 백색으로 되거나 백색반점이 생긴다.

 - 비중이 저하되고 충전용량이 감소한다.

 - 충전시 전압 상승이 빠르고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함

현상:  설페이션 현상 (설방전 났다.)

원인 1. 방전상태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2.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 경우

     3. 불충분한 충전을 반복하는 경우



변전설비를 계획하고자 할때 기본계획에 고려할 사항

    (96년)

    안전성, 신뢰성, 경제성, 주변 환경고려, 조작 및 취급

    보수점검유지


배전용 변전소 접지공사의 접지 목적(3가지) (90,97년)

  감전방지, 기기의 손상 방지, 보호계전기 동작

  접지 5개소 (기 침 일(이) 옥 케)

  1. 피뢰 접지

  2. 피로 접지

  3.반기기 및 제어반 외함 접지

  4. 외철구 및 경계책 접지

  5. 이블 실드선 접지


농형 3상유도 전동기가 전혀 기동되지 않고 있을때

   원인 5가지 (97년)

  고3공기큰 코로 들이마시면

  1. 고정자 권선의 내부 오 접속

  2. 3선중 1선의 단선

  3. 공극의 불균등

  4. 기동기 고장

  5. 큰 전압강하로 인한 기동토크 부족


단상 유도 전동기

  -기동 방식 : 반발. 세이딩 코일형. 콘덴서. 분상기동형


3상 유도 전동기의 속도 제어 방법

 주파수변환, 극수 변환, 전압제어. 2차 저항제어


유도 전동기 기동 방식

 1. 직입 기동

 2. Y-△ 기동

 3. 리액터 기동 - 전동기의 전원측 에 직렬로 리액터를 접속하여 리액터의       전압 강하에 의해 전동기에 걸리는 전압을 갑압시켜 기동 (90년)

 4. 기동 보상기 기동

 - 기동시 전동기에 대한 인가전압을 단권 변압기로 감압 공급함으로써 기동전류를 억제하고 기동 완료 후 전전압 을 가하는 방식

  

MCC반을 구성하고자 할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MCC 의 기기 구성에 대한 대표장치 3가지

 차단장치, 기동장치, 제어및 보호장치


차단기의 보호계전기의 4가지 요소

임피던스요소, 위상 및 방향, 전압요소, 전류요소


△-△결선  (97,04,07년)

장점

1.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     기하여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2. 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사용할수 있다.

3. 상전류가 선전류의 1/3 배이다.

단점

1.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어 지락사고 검출이 곤란하다.

2.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3.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     부하 전류는 불평형이 됨


단상 변압기 3대를 이용하여 1차측 △- 2차측 Y 결선

   시 장/단점을 2가지씩 쓰시오. (92.94,00년)

장점

1. 2차측(Y결선)에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있다.

 2. 2차측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루트3배 이므로 절연이 유리하다.

 3. 1차가 △결선이므로 여자 전류의 통로가 있어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단점

 1. 1차와 3차 선간 전압 사이(3상 입출력)에 30° 의 위상차가 있다

 2. 1상의 고장이 생기면 전원 공급이 불가능하다.

 3. 1상의 단락시 다른 변압기를 과여자 시킨다.


통신선의 전자유도 장해 경감에 관한 대책 (97,99년)

 근본대책 : 전자 유도 전압의 억제

1. 전력선측 대책(5가지) (저, 멀리, 고속, 차 지, 연)

   1. 저항값을 크게한다.

   2. 멀리 송전선로를 통신선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건설

   3. 고속도 지락 보호계전기 방식을 채용한다.

   4. 차폐선을 설치

   5. 지중 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6. 연가를 실시한다.

2. 통신선측 대책(5가지) (통,절, 연,에는 피, 배, 전)

  1. 절연 변압기를 사용하여 각 구간을 분리한다.

   2. 연피 케이블을 사용한다.

   3.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사용한다.

   4. 배류 코일을 설치한다.

   5. 전력선과 수직교차 한다.


송전선로의 거리가 길면.. 복도체 방식을 단도체 방식과

   비교 할 때 그 장점과 단점을 쓰시오.

장점 1. 송전용량 증대

     2. 코로나 손실감소

     3. 안정도 증대

     4. 인덕턴스 감소

     5. 정전용량 증가

단점 1. 건설비 증가

     2. 꼬임 현상 및 소도체 사이의 충돌현상 발생

     3. 단락시 대전류 등이 흐를때 소도체 사이의 흡인력 발생


송전선로에 코로나가 발생한 경우 나쁜 영향들을 4가지만

   설명, 코로나 발생 방지대책 및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코로나  소리 전부 통해

영향  1. 코로나 손실이 발생하여 송전효율을 저하시킨다.

      2. 액터의 소호능력을 저하시킨다.

      3. 선의 식이 발생한다.

      4. 신성에 유도장를 일으킨다.

방지대책 

 1.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복도체를 사용한다.

이유

 1. 전선주의에 전위경도를 낮춤으로써 코로나 임계전압을

    상승시켜 코로나 발생을 방지


송전선로의 안정도 증진방법

송전 안정환 축구 중계직전 고장나다.

1. 간조상방식을 채택

2. 통을 연계

3. 렬리액턴스를 작게

4. 압 변동을 작게 한다.

5. 고장전류를 줄인다.


플로어 덕트 (91,98년)

통신선로 혹은 전력선로용 전선을 바닥에 배선하는 경우

바닥에 포설되는 관로로서 600mm간격마다 인출구를

갖는 강판제의 덕트이다.

용도 : 중규모 혹은 대규모의 사무실, 백화점, 실험실

등에서 통신선 혹은 전력용 배선


송전선로에서 지중전선로를 채택하는 이유4가지

1. 도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2. 수용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공급되는 경우

3. 뇌, 풍수해등 사고에 대하여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경우

4. 보안상의 제한조건으로 가공전선로 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잠동현상이란 (94,00,05년)

정격전압 및 정격주파수의 110%인가 후 무부하 상태에서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잠동방지 방법

1.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2.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적산전력계

1. 기능적 특성(적산 과부 주기 옥)

1. 부하 내량이 클 것

 2. 하특성이 좋을 것

 3. 파수나 온도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4. 계적 강도가 클 것

 5. 내 외 설치가 쉬울 것


접지저항 의 측정방법 2가지는?

1.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2. 어스테스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저항 측정 방법의 측정계기를 쓰시오

1. 굵은 나전선 저항 - 캘빈더블 브리지

2. 수천 옴의 가는 전선의 저항 - 휘트스톤 브리지

3. 전해액의 저항(황산구리 용액) - 콜라우시 브리지

4. 옥내 절연 저항 -  메거


배전선로에서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영향

  고3 보,통, 전과, 자다

1. 3상 4선식 회로의 중선선 과열

 2. 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3. 신선의 유도장해

 4. 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고조파 억제 대책 (07년)

1. 전력 변환 장치의 pulse수를 크게 한다.

 2. 전력 변환 장치의 전원 측 부근에 교류 리액터를 설치한다.

 3. 부하측 부근에 고조파 필터를 설치한다.

고조파 발생 원인

 1. 전기로, 아크로 2. 전기 용접기 3. 전력용 콘덴서


전력퓨즈

 역할/기능

 1.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2. 어떤 일정값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기기보호

전력 퓨즈의 사용상 장단점

력장 고릴라에게는 소가소이고,단점제동비과세차이다.

1. 속도 차단을 한다.

 2. 레이나 별도의 변성기가 필요 없다.

3. 형, 경량이다.

 4. 격이 저렴하다.

 5. 형으로 큰 차단 용량을 갖는다.



단점 (90,94,95,97,00,02,06년)

 1. 투입이 불가능하다.

 2. 작시간. 전류특성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없다.

 3. 보호 영역이 있다.

 4. 도전류에 용단되기 쉽고, 결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5. 단시 상전압이 발생한다.


파워퓨즈를 선정하고 자 할때 고려하여야 할 주요특성

파워우먼 선정과부변여자쇠와 격적 도가 나오다.

1. 과부하 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2. 압기 여자 입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3. 전기 및 전동기 동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4. 호기기와 협조를 가질 것


여자돌입 전류에 대한 오동작 방지법

  1. 감도저하법, 2.고조파 억제법, 3. 비대칭파 저지법


역률 과보상시 나타나는 현상 (99,04년) (역단계)

1. 률의 저하 및 전력 손실의 증가

 2. 자전압 상승

 3. 전기 오동작

 4. 전압강하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 설명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전류를 흘려줌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콘덴서의 용량, 접속 방법에 대한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콘덴서를 본선에 접속시키는 방법과 유의할 점 설명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개폐기, 퓨즈, 유입차단기

     등은 시설하지 말 것. 이 경우 콘덴서에 이르는 분기선의 굵기는 본선

     의 최소굵기 이상으로 할 것


♦  조명용어의 정의 및 단위 설명

1. 광속 F: 광원이 단위 시간당 발산하는 빛 에너지양(단위:lm)

2. 광도 I: 광원에서 어떤 방향에 대한 단위 입체각으로 발산하는 광속

          (단위:cd)

3. 조도 E: 어떤면의 단위 면적당 입사 광속 (단위: lx)

4. 휘도 B: 광원의 임의 방향에서 바라본 단위 투영

    면적당광도(단위:sb)

5. 광속발산도 R: 단위 면적으로부터 발산하는 광속밀도(단위:rlx) 


조명설비에서 전력을 절약하는 효율적인 방법 8가지

(91,98년)

  1. 고효율등기구 채용, 2.고역률 등기구 채용 3.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4.등기구의 보수 및 유지관리, 5. 등기구의 격등제어 6. 불필요한 조명소등

   7.균일한 전압 유지 8. 적절한 조광제어 실시


♦ 조명설비의 깜빡임 현상을 줄일수 있는 조치 (05년)

1. 백열전구 :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한다.

2. 3상전원인 경우 : 전체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누어 각군의 위상이 120

 〫  가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인의 빛을 혼합한다.

3.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기구 :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 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 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한다.



♦ 백열전구 점등시 플리커 현상이 생기는 경우와 대책

원인  1. 조광 상태에서 필라멘트의 온도가 내려가는 경우

        2.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사인파가 아닌 경우

        3. 필라멘트가 진동하는 경우

대책

 전원측 대책 : 전용게통 으로 공급한다. 전용변압기로 공급한다.

               공급전압을 승압한다.

 수용가측 대책 : 부스터 설치 직렬리액터 설치 직렬콘덴서 설치


◆ 전기에 대한 재해 3가지로 크게 대별하고, 설명 (93년)

전기재해: 감전, 아크의 복사열에 의한 화상, 전기 화재, 전기설비의

          손괴 및 기능 일시 정지

정전기 재해 : 감전, 설비기능저하, 전전기 화재

낙뢰 재해 : 감전, 낙뢰 화재, 물체 손괴


콘덴서 설비의 주요사고원인을 3가지만 설명 (91년)

1. 콘덴서 설비의 모선단락 및 지락

 2. 콘덴서 소체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3. 콘덴서 설비 내의 배선 단락


슬림라인 형광등의 장단점 5가지 (98,04년)

  S라인의 예,순,관 점,수 는 점수전

장점 1. 열을 하지 않는다.

     2. 시 기동으로 점등시간이 짧다.

     3.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4. 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5. 전압 변동에 의한 명단축이 없다.

단점 1: 점등장치가 비싸다.

     2: 수명이 짧다

     3: 전력손실이 크다.


레스형 피뢰기의 주요 특징을 3가지만 쓰시오.(99년)

  직소속어느 사야

  1. 렬갭이 없어 형화, 경량화 할수 있다.

   2. 류가 없어 빈번한 작동에도 잘견딘다.

   3.류에 따른 성요소의 변화가 적다.


UTLTC의 구조상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1. 병렬구분식  2. 단일 회로식


발전기 ,변압기 등의 증성이나 송전선의 증, 설로 단락 지락 전      류 등의 .. 전력계통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3가지?

   단락 경감님, 모계 한직 인사 합니다.

 1, 선계통을 분리 운용

  2. 통전압의 격상

  3.류리액터를 설치한다.

  4. 류연계

  5. 임피던스 기기를 채택한다.


배전선의 전압을 조정하는 3가지 방법은? (05년)

1. 자동전압 조정기  2. 고정 승압기

 3. 직렬콘덴서       4. 병렬 콘덴서


용어 해설 (98, 01년)

 1. 뱅크-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 결선상 단위

 2. 수구-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의 총칭

 3. 한류퓨즈-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흐르는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진 퓨즈

 4. 접촉전압-지락이 발생된 전기기기 기구의 금속제 외함들에 인       축이 닿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전압

출처 : 고흥 백옥
글쓴이 : 백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