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사철쑥을 이용한 민간요법

즐거운세상위해 2013. 8. 19. 12:01

사철쑥(인지)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아랫부분이 목질화되어 반관목이 되고,

꽃이 달리는 줄기는 짧고

윗부분은 잎이 뭉쳐나서 로제트모양이 된다.
꽃이 달리는 줄기는 0.3∼1m이며 잘 분지한다.

잎은 모두 1∼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양면에 회백색의 털이 빽빽이 나는 것에서 거의 털이 없는 것까지 있다.

8∼9월에 큰 원뿔꽃차례로 많은 두화(頭花)가 점점 빽빽하게 핀다.
뿌리에 초종용이 기생하는 것도 있다.

어린 순은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인진호(茵蔯蒿)라 하여

이뇨·이담·해열제로서 황달·간염·식중독·신장염 등의 치료에 이용한다.

한국·중국·일본·필리핀·네팔 등지에 분포한다.

 

인진쑥은 급만성 간염을 비롯해서 지방간, 간경화 심지어는간암에도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약이다.

이 쑥이 황달을 치료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의 실험결과 간장 내에서 효소의 반응을 활성화시키고 간 세포의 재생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 외에도 열을 내려주며 혈압을 강하시키고 소변의 배설량도 증가시키고 있었다.

간 보호작용 및 담즙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이 뛰어나고 혈관내으콜레스테롤를 크게 내려주는 효능이 확인되었다
담즙 분비를 빠르게 하고 장애된 간 기능과 손상된 간 실질을 회복시키는 작용등이 있다.

 

♠ 만성간염에는 20 ∼ 30g을 달여 하루 3번 먹는다.

♠ 황달이 있으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사철쑥(인진)을 한 번에 15 ∼ 20g 정도 끓여서 하루 3번 먹는다.

출처 : 산초와 꾼
글쓴이 : 수기 원글보기
메모 :